1. 필요성
- 좋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 좋은 우유를 얻으려면 좋은 원유를 확보해야 하는 것처럼,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많이 수집해야하며
- 수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언제든 사용할 수 있어야함
- 이를 관리해주는게 데이터베이스
2. 본질
-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
-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볼 때, 어떻게 입력하고 출력하는지를 따져봐야함
- 입력 - Create, Update, Delete
- 출력 - Read
3. 파일은 어떻게 데이터베이스화 되어갔나?


- 파일의 목록이 1억개라고 상상해보자
-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왼쪽(- 파일 시스템)에서는 파일을 일일이 열어 확인해야 하지만 오른쪽(- 구조화된 스프레드 시트)에서는 간단한 검색으로 확인할 수 있음
- 스프레드 시트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니지만, 데이터베이스적인 특징 = 구조화를 갖고 있음
- 여기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했을 때의 장점을 느낄 수 있음
- 데이터베이스 vs. 스프레드 시트
- 스프레드 시트는 파일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음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언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CRUD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름 = 자동화 가능
[출처] 생활코딩, 데이터베이스 개론
'computer science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OLTP → OLAP (0) | 2024.06.06 |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와 정보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