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book (6) 썸네일형 리스트형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목차 PART 1.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반 구축하기 CHAPTER 1. 데이터 엔지니어링 상세 1.1 데이터 엔지니어링이란? 1.1.1 데이터 엔지니어링 정의 1.1.2 데이터 엔지니어링 수명 주기 1.1.3 데이터 엔지니어의 진화 1.1.4 데이터 엔지니어링과 데이터 과학 1.2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술과 활동 1.2.1 데이터 성숙도와 데이터 엔지니어 1.2.2 데이터 엔지니어의 배경과 기술 1.2.3 비즈니스 책임 1.2.4 기술 책임 1.2.5 A에서 B로 이어지는 데이터 엔지니어링 역할의 연속성 1.3 조직 내 데이터 엔지니어 1.3.1 내부 vs 외부 대면 데이터 엔지니어 1.3.2 데이터 엔지니어와 기타 기술 역할 1.3.3 데이터 엔지니어와 비즈니스 리더십 1.4 결론 1.5 참고 문헌 CHAPT.. [CODE] 5장 - 다른 방법을 찾아봅시다 1. 만약 옆집 친구와 전화도, 그 어떤 것도 없는 상태에서 소통을 하는 도구를 만들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옆집 친구의 방은 손전등을 직접 들고 깜박여도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다고 하자. 2. 지금까지 전기에 대해 어느 정도 배웠으니 전지, 전구, 스위치, 전선을 이용해 전등을 직접 만들어보자. 3. 두 전지의 음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지, 스위치, 전구, 전선으로 두 회로가 샴쌍둥이처럼 연결되어 있지만, 여전히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연결을 공통 연결(common)이라고 부른다. 공통 회로를 이용해 각각 만들던 두 회로를 하나로 합침으로써, 전선을 4개에서 3개로 줄일 수 있다. 4. 하지만 회로에서 공통 연결 부분이 구성되어 있다면 이 부분에 실제로 전선을 연결할 필요는 없다. .. [CODE] 4장 - 전등을 분해해 봅시다 1. 일반적으로 전자가 회로에 전기를 공급한다고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회로라는 것이 전지에서 화학적 상호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방법을 제공하기도 한다. 회로는 전지의 음극에서 전자를 가지고 와서 전지의 양극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어떤 물질들은 다른 것들보다 전기를 아주 잘 이동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원소가 전기를 잘 이동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는 원자가 가지고 있는 원자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핵원자 주변으로 형성되는 전자의 궤도는 다양한 준위(level)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전자의 에너지 준위 혹은 전자껍질(shell)이라 부른다. 가장 바깥쪽에 있는 에너지 준위에 오직 하나의 전자만이 있는 경우는 비교적 쉽게 그 전자를 잃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전기가 .. [CODE] 3장 - 점자와 이진 부호 1. 루이 브라이(Louis Braille)는 어릴 때 사고로 실명하게 된 시각 장애인이었다. 당시 시각 장애인의 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인쇄물을 읽는 것이었는데, 그가 다니던 파리의 왕립맹아학교를 설립한 발랑탱 아우이(Valentin Hauy)는 촉각으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종이 위에 문자가 볼록 튀어나온 돋움 문자를 사용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눈이 보였던 아우이에게 'A'는 'A'여야 하고, 보기에도 'A'라는 문자로 보여야 한다는 기존의 관념을 벗어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2. 프랑스의 육군 대위 햐를 바비에르(Charles Barbier)가 1819년 고안한 기록 체계인 '야간 기록'은 소리를 내지 말아야 하는 야간에 병사들끼리 노트를 돌려보며 메시지를 전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두꺼운.. [CODE] 2장 - 부호와 조합 1. 점과 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의 수는 전달된 점과 선의 수를 2의 승수로 사용하면 얻을 수 있다. 이진(binary) 부호는 던졌을 때 앞면과 뒷면만 나올 수 있는 동전과 비슷하다. 항상 2의 거듭제곱수로 그 결과를 표현할 수 있다. 점과 선의 수 부호의 수 1 2^1 2 2^2 3 2^3 4 2^4 표현할 수 있는 부호의 수 = 2^(점과 선의 수) 2. 전통적으로 이런 조합적 분석은 확률과 통계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동전과 주사위 등을 던질 때 가능한 조합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호가 어떻게 조합되고 분석되는지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CODE] 1장 - 친한 친구와의 대화 25년 전이나 50년 전의 컴퓨터에 비하면 오늘날의 컴퓨터가 복잡한 것이 사실이지만, 기본적으로는 대부분 동일합니다, 따라서 어떤 기술의 과거 형태를 살펴보면 오늘날의 기술과 기본적으로는 같으며 좀 더 간단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측면에서 좀 더 편하게 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기술에 대한 역사를 공부하는 의의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지은이의 글 중 - 1. 비록 모스부호가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이를 통하여 부호(코드/code) 속성에 대하여 익숙해지는 것이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겨진 언어와 내부 구조를 좀 더 깊이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2. 이 책에서 부호(코드/code)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람과 컴퓨터 간에 정보를 전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