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점과 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의 수는 전달된 점과 선의 수를 2의 승수로 사용하면 얻을 수 있다. 이진(binary) 부호는 던졌을 때 앞면과 뒷면만 나올 수 있는 동전과 비슷하다. 항상 2의 거듭제곱수로 그 결과를 표현할 수 있다.
점과 선의 수 부호의 수
1 2^1
2 2^2
3 2^3
4 2^4
표현할 수 있는 부호의 수 = 2^(점과 선의 수)
2. 전통적으로 이런 조합적 분석은 확률과 통계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동전과 주사위 등을 던질 때 가능한 조합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호가 어떻게 조합되고 분석되는지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etc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고한 데이터 엔지니어링] 목차 (2) | 2023.12.05 |
---|---|
[CODE] 5장 - 다른 방법을 찾아봅시다 (0) | 2023.10.20 |
[CODE] 4장 - 전등을 분해해 봅시다 (1) | 2023.10.20 |
[CODE] 3장 - 점자와 이진 부호 (0) | 2023.10.18 |
[CODE] 1장 - 친한 친구와의 대화 (0) | 2023.10.17 |